보안/사건 사고57 결혼 정보 회사 ‘듀오’ 개인정보 유출 설 연휴 동안 국내 유명 결혼정보 회사인 ‘듀오’ 가 해킹을 당해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해킹이 발생한 즉시 발견되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연휴라는 특수한 상황이 겹치면서 해킹이 발생한 지 이틀이 지나서야 인지되었고, 그사이 얼마나 많은 정보가 유출되었는지 아직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습니다.특히 결혼정보 회사는 단순한 연락처나 생년월일뿐만 아니라 고객의 신상, 선호도, 가족 관계 등 민감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 금전적 피해는 물론이고 협박, 사생활 침해와 같은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개인정보 유출이 왜 위험한가요?과거에도 데이팅 앱 해킹 사건이 발생하면서 피해자들이 해커에게 협박을 당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개인정.. 2025. 2. 20. 랜섬웨어 공격받은 신성델타테크 최근 가전·IT·자동차용 사출 부품 제조업체인 신성델타테크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내부 데이터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랜섬웨어는 데이터를 암호화한 뒤 몸값(Ransom)을 요구하는 악성코드로, 한 번 감염되면 기업과 개인 모두 큰 피해를 입게 됩니다. 랜섬웨어 공격, 어떻게 이루어질까요?랜섬웨어 공격은 주로 피싱 이메일, 악성 파일 다운로드, 취약한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해커는 피해자의 시스템에 침투한 후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복구하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합니다. 만약 요구를 거부하면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삭제하거나 다크웹에 공개하는 등의 협박이 이어집니다.LYNX 가 게시한 피해 기업 정보이번 신성델타테크 사건에서도 국제 해킹 조직인 'LYNX'가 다크웹을 통해 12GB에 달하는 내.. 2025. 2. 17. 서울시 이메일 해킹 사건 최근 서울시에서 시민 메일 계정을 도용한 해킹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서울시 공무원의 이름을 도용한 이메일이 발송되었고, 이에 대한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해커들은 ‘대북전단 살포’ 관련 비대면 회의 가능 여부를 묻는 이메일을 보내며, 사용자가 이를 열람하고 첨부파일을 클릭하도록 유도했습니다.이메일 해킹, 어떻게 이루어질까요?이메일 해킹은 보통 ‘피싱(Phishing)’ 기법을 이용합니다. 피싱은 사용자를 속여 악성 링크를 클릭하게 만들거나, 가짜 로그인 페이지로 유도하여 계정 정보를 탈취하는 방식입니다. 해커들은 실제 기관의 이메일처럼 보이도록 정교하게 위장하여 신뢰를 얻으려 합니다. 이번 사건에서는 공무원의 공식 메일(@seoul.go.kr)과 시민 메일(@citizen.seoul... 2025. 2. 14. 사칭 앱 주의보! 딥시크(DeepSeek) AI 앱을 가장한 악성 앱 등장 최근 AI 시장에서 저비용 고성능을 앞세운 딥시크(DeepSeek)가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에서도 AI 앱 순위권에 빠르게 진입하며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하지만 인기가 많아질수록 이를 악용하려는 사이버 범죄자들도 활개를 칩니다. 최근 딥시크를 사칭한 악성 앱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상 앱과 유사한 사칭 앱, 속지 마세요!정상 앱(왼쪽), 사칭 앱(오른쪽) 출처:AhnLab악성 앱은 정상 앱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제작됩니다. 아이콘과 UI를 거의 동일하게 만들어 사용자들이 혼란을 겪도록 유도하는데요. 사칭 앱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아이콘과 앱 이름이 정상 앱과 거의 동일정상적인 앱처럼 보이지만 출처가 불분명공식 앱스토어가 아닌 외부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유도설치 .. 2025. 2. 11. 원더걸스 선예의 인스타그램 계정 해킹 사건 최근 원더걸스 선예의 인스타그램 계정이 해킹당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새로운 계정을 통해 기존 계정이 해킹당했으며, 해커로부터 금전을 요구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다행히 빠르게 대응하여 새로운 계정을 만들고 2차 피해를 방지하고자 했지만, 이러한 해킹 시도는 우리 모두가 겪을 수 있는 일입니다.왜 해커들은 SNS 계정을 노릴까요?SNS는 우리의 일상과 개인정보가 담긴 공간입니다. 해커들은 이를 노려 계정을 탈취한 후, 지인들에게 금전을 요구하거나 피싱 링크를 보내 추가적인 피해를 일으킵니다. 특히 유명인의 계정은 팔로워 수가 많아 해킹 후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명인이 아니더라도 해커들의 타깃이 될 가능성은 충분합니다.해킹을 막기 위한 필수 보안 수칙해커들의 공격을 막기 위해서는 몇 .. 2025. 2. 7. 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신청한 적 없는 카드 배송 최근 울산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사건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60대 여성 A 씨는 카드사 직원을 사칭한 범죄자의 전화를 받고, 명의 도용을 우려해 상담을 진행했습니다. 범인은 고객센터를 가장한 전화번호(1544-1236)를 안내하며 불안감을 조성했고, 이후 '○○카드 사고예방팀'이라는 가짜 기관과 연결해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했습니다. 결국 A 씨는 8,900만 원을 이체하며 큰 피해를 보게 되었습니다.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왜 위험한가요?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에서 발생한 피싱 범죄 피해액은 총 182억 3,000만 원에 달하며, 이 중 51.1%인 93억 9,000만 원이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였습니다. 특히 60대 이상 여성 피해자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어 더욱 주.. 2025. 2. 3.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