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팁14 문자로 온 경찰청 메시지, 당신의 스마트폰을 노립니다. 최근 전국적으로 퍼지고 있는 문자 사기(스 미싱) 들 중 "경찰청" 을 사칭하고 있습니다. "교통법규를 위반했습니다", "범칙금이 부과되었습니다" 같은 긴급한 내용과 함께 오는 문자에는, "교통경찰24", "교통민원", "이파인" 등의 공공기관을 연상케 하는 이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문자를 받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순간 당황하게 됩니다. "내가 정말 위반했나?"라는 생각과 함께 자연스럽게 문자에 포함된 링크를 누르게 됩니다. 하지만 바로 그 클릭이 스마트폰을 해킹하는 출발점이 됩니다. 경찰청 문자, 왜 위험한가요?이러한 스미싱 문자는 ‘교통법규 위반’이라는 긴박한 상황을 빌미로 사람들의 심리를 흔듭니다. 그리고 문자에 포함된 링크는 진짜 경찰청 사이트가 아닌, 악성 앱을 설치하거나 개인 정보를 .. 2025. 4. 23. 암호화폐를 주는 앱, 정말 공짜일까요? 요즘 스마트폰 하나로 돈을 버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앱테크’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앱을 설치하거나 광고를 보면 포인트를 주고, 이걸 현금처럼 쓰거나 암호화폐로 받을 수 있는 구조죠. 특히 요즘은 특정 앱을 설치하면 암호화폐를 공짜로 준다는 홍보가 넘쳐납니다. 얼핏 보면 매력적인 제안입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사실 이런 무료 암호화폐 앱들 중에는 사용자를 노리는 함정이 숨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악성 디앱(dApp), 블록체인을 타고 온 신종 사기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앱’은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암호화폐나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되는 앱은 ‘디앱(dApp)’이라고 부릅니다. 겉보기엔 일반 앱과 똑같고, UI도 비슷해서 속기 쉬운데, 문제는 이 디앱이 악성으로 조작.. 2025. 4. 15. 브라우저 자동 로그인 기능 조심하세요. 최근 인터넷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우리 생활은 점점 편리해지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브라우저의 자동 로그인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매번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지만, 보안에 취약한 환경에서는 큰 위험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자동 로그인 기능이 활성화된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되거나 공용 PC에서 사용될 경우, 공격자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예를 들어 아이디, 비밀번호, 쿠키, 세션 정보 등을 빠르게 탈취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탈취된 정보는 이후 다른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불법 접근을 위한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uffing) 공격에 악용될 우려가 있습니다.인포스틸러(Infostealer) 공격의 이해인포스틸러 공격은 말 그대로 사용자의 중요.. 2025. 4. 8. “무료 파일 변환기” 도 조심해야 합니다. 업무 중에 PDF로 변환해야 할 파일이 쌓여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해결책은 무엇인가요? 아마도 ‘무료 파일 변환기’일 겁니다. 엑셀, 워드, 한글, 이미지 파일을 한꺼번에 PDF로 바꿔주는 간편한 온라인 도구들 덕분에 업무 효율이 높아졌죠. 하지만 최근 이런 무료 파일 변환기가 보안 위협의 새로운 수단이 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해커들의 새로운 수법: 가짜 파일 변환기해커들은 ‘무료 파일 변환기’라는 미끼를 던져 사용자를 유혹합니다. 변환이 필요할 때 검색을 통해 다운로드한 프로그램이 사실은 악성코드(Malware)를 숨기고 있을 가능성이 크죠. 미국 FBI는 최근 가짜 파일 변환기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해킹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해커들의 전략은 단순하지만 효.. 2025. 3. 28. 보이스피싱, AI 음성 합성까지 활용됩니다. 보이스피싱 범죄가 AI 기술과 결합하면서 더욱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단순한 전화 사기를 넘어, 이제는 AI 음성 합성 기술을 활용한 사기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피해자의 목소리를 흉내 내어 가족이나 직장 동료를 사칭하는 방식이 점점 정교해지고 있으며,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우리는 더욱 똑똑해져야 합니다.AI 음성 합성, 보이스피싱에 어떻게 활용될까요?AI 음성 합성 기술은 특정 인물의 목소리를 학습하여 자연스럽게 따라 하는 기술입니다. 보이스피싱 조직은 이를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음성 변조 및 합성: 피해자의 친척이나 상사의 목소리를 흉내 내어 송금을 지시통화 녹음 탈취 및 조작: 피해자의 기존 통화 녹음을 악용하여 더욱 정교한 음성 사기 생성가짜 전화 및 음성 메시.. 2025. 2. 24. 온라인 쇼핑몰 사기, 가짜 사이트를 조심하세요! 요즘 온라인 쇼핑을 할 때, 믿을 만한 사이트인지 의심해 본 적 있으신가요? 신뢰할 수 있는 쇼핑몰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교묘하게 만들어진 사기 사이트일 수 있습니다. 이커머스 피싱, 즉 전자상거래 사기가 점점 정교해지면서 많은 소비자가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실제 쇼핑몰을 운영하는 업주들도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가짜 쇼핑몰, 어떻게 만들어질까요?실제 사업자의 정보를 도용하여 가짜 사이트를 만드는 것은 놀라울 만큼 쉽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정상적인 쇼핑몰의 사업자 번호와 이름을 그대로 베껴 신뢰도를 높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사이트는 소비자에게 할인이나 특가 상품을 내세워 구매를 유도하죠. 예를 들어, 배드민턴 용품을 판매하는 A 쇼핑몰의 사업자 정보를 도용한 가짜 사이트가 있다고 가정해.. 2025. 2. 1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