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팁

설 명절, 스미싱 조심하세요!

by Blacksawsage 2025. 1. 21.

 

설 명절은 따뜻한 가족의 만남과 즐거운 선물 교환의 시기지만, 사이버 범죄자들에게는 또 다른 기회가 됩니다. 특히 스미싱(SMS Phishing) 같은 문자 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습니다. 가족, 친구, 공공기관 등을 사칭해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거나, 개인정보를 탈취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스미싱, 어떻게 작동할까요?

스미싱은 문자 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을 결합한 단어로, 문자 속에 포함된 링크를 클릭하거나 전화를 걸도록 유도하여 개인·금융 정보를 탈취합니다. 예를 들어, “과태료 미납” 또는 “택배 배송 지연” 같은 긴급한 문구로 사용자를 속입니다.

 

설 연휴 스미싱 사례

  1. 범칙금·과태료 납부 유도: 정부 기관을 사칭한 메시지로 개인 정보를 탈취.
  2. 배송 안내 사칭: “택배가 도착했습니다. 여기서 확인하세요”라는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
  3. 명절 선물 위장: 모바일 상품권, 선물 교환권 제공 메시지로 악성 앱 설치 유도.

 

스미싱, 이렇게 예방하세요

  1. 모르는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 특히,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는 무조건 피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2. 공인된 앱 마켓 이용:
    • 악성 앱 설치를 막기 위해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 같은 공인된 마켓에서만 앱을 다운로드하세요.
  3. QR코드도 조심:
    • 요즘 유행하는 큐싱 (QR코드 피싱) 은 QR코드를 통해 악성 앱을 설치합니다. QR코드 스캔 전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인지 확인하세요.
  4. 백신 프로그램 설치:
    • 스마트폰에도 컴퓨터처럼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해 실시간 감시 기능을 활성화하세요.

온라인 쇼핑 사기, 명절에도 방심하지 마세요

명절 특수를 노리는 허위 쇼핑몰과 비대면 직거래 사기도 기승을 부립니다.

  • 지나치게 저렴한 가격의 상품은 의심해 보세요.
  • 현금거래를 유도하거나 추가 할인을 제안하는 경우 주의하세요.
  • 구매 전 사업자 등록 정보와 고객 리뷰를 꼼꼼히 확인하세요.

블랙쏘세지로 안전한 링크 확인하세요

명절 스미싱, 불안하시죠? 블랙쏘세지는 원격 브라우저 격리 기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받은 모든 링크를 안전하게 열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