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파이웨어2

랜섬웨어와 VPN, 믿었던 방패가 칼날이 될 때 많은 기업과 개인이 VPN(가상사설망, Virtual Private Network)을 사용합니다. 회사 내부망에 접속하거나, 공용 와이파이에서 개인정보를 지키기 위해서입니다. VPN은 마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비밀 통로와 같습니다.그러나 이 통로에 균열이 생기면, 해커에게는 오히려 성문을 활짝 연 것과 같은 결과가 나타납니다. 최근 실제 사례를 통해 VPN이 어떻게 랜섬웨어와 정보 유출의 경로가 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랜섬웨어의 통로가 된 VPN2025년 7월 중순부터 SonicWall SSL VPN 장비가 랜섬웨어 공격의 주요 진입점으로 활용된 정황이 포착되었습니다. 일부 장비는 최신 패치가 적용된 상태였는데도 뚫린 사례가 있어, 제로데이 취약점 가능성도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Akira 랜섬웨어.. 2025. 8. 26.
누르지 않아도 감염된다 – 제로클릭 스파이웨어의 실체 링크를 클릭하지도 않았고, 메시지를 열지도 않았는데…그런데 이미 내 스마트폰에 스파이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면 믿을 수 있겠습니까?이 무서운 현실이 바로 제로클릭(Zero‑click) 스파이웨어의 본질입니다. 제로클릭 공격이란 무엇인가요?기존의 해킹은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하거나 첨부 파일을 열 때 시작됩니다. 하지만 제로클릭 공격은 단순히 메시지가 스마트폰으로 도달하기만 해도 실행될 수 있습니다. 즉, 사용자의 어떤 조작 없이도 스마트폰에 전달된 콘텐츠가 자동으로 취약점을 악용해 코드 실행을 유발할 수 있는 것입니다. 공격자는 메신저, 푸시 알림, 이미지 파일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합니다. iMessage, WhatsApp, SMS 등 친숙한 수단이 악용될 수 있으며, 심지어 알림 창을 누르지 않아도 공격.. 2025.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