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킹9

AI가 해킹을 돕는 시대: 잔소록스AI의 등장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은 우리 생활을 크게 편리하게 만들었지만, 그 이면에는 사이버 범죄에 악용되는 어두운 그림자도 함께 드리워져 있습니다. 특히 지난 몇 달 사이 다크 웹과 해킹 포럼에서 고도화된 악성 AI 도구인 ‘잔소록스AI(Xanthorox AI)’가 등장하면서 일반 사용자들도 직접적으로 위협받는 상황이 되었습니다.잔소록스AI란 무엇인가요?잔소록스AI는 기존의 대형 AI 모델을 단순히 변형한 것이 아니라, 해킹을 목적으로 처음부터 설계된 독립적 AI 플랫폼입니다.자체 구축된 5개의 전문 모델악성코드 생성, 취약점 탐색, 피싱 메시지 작성, 이미지·음성 분석 등을 각각 수행하도록 분리된 모델이 탑재되어 있습니다.로컬 서버 기반의 ‘언모니터드’ 구조외부 클라우드나 상용 API에 의존하지 않.. 2025. 4. 17.
rose87168 - 오라클 해킹 사건 2025년 3월 21일, ‘rose87168’이라는 해커가 오라클 클라우드(Oracle Cloud)의 싱글사인온(SSO) 로그인 서버를 대상으로 약 600만 건의 고객 데이터를 탈취하고 이를 판매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당시 오라클은 부정 접근이 없었다는 성명을 발표하였으나, 이후 4월에 일부 클라이언트에 대해 해커가 시스템에 침입해 사용자명, 패스키, 암호화된 비밀번호 등에 접근한 사실을 인정하고 고객에게 통지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rose87168' 의 글 해킹 경위와 주요 쟁점해커의 주장과 탈취된 데이터해커는 해킹 포럼에서 오라클 클라우드 SSO 로그인 서버에서 600만 건의 비밀번호, 키스토어 파일, 키 파일 등을 탈취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오라클 관리하에 운영되는 login.us2.ora.. 2025. 4. 10.
2024년, 307 건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 최근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20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에만 307건의 개인정보 유출 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 이 중 해킹으로 인한 유출이 56%(171건)로 가장 많았으며, 업무 과실(30%, 91건), 시스템 오류(7%, 23건)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해킹 사고는 2023년 151건에서 2024년 171건으로 13.2% 증가하며 점점 더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반면, 업무 과실(116건→91건)과 시스템 오류(29건→23건)로 인한 유출 사고는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해킹, 어떻게 이뤄질까요?보고서에 따르면 해킹 유형 중 가장 흔한 방식은 관리자 페이지 비정상 접속(23건)이었습니다. 이어 .. 2025. 3. 20.
타슈 해킹 사건, 랜섬웨어의 위협 최근 대전시 공용자전거 서비스인 '타슈'가 해킹 공격을 받아 36시간 동안 운영이 중단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대전교통공사가 위탁 운영하는 타슈 홈페이지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서버가 마비되었고, 이와 함께 같은 서버를 사용하던 대전교통공사 홈페이지 역시 운영이 중단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랜섬웨어는?랜섬웨어는 악성 소프트웨어(악성코드)의 일종으로, 시스템을 감염시켜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하거나 접근을 차단한 뒤, 이를 풀어주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방식의 해킹 공격입니다. 쉽게 말해, 당신의 중요한 파일을 '인질'로 잡고 몸값을 요구하는 디지털 범죄입니다. 이번 타슈 해킹 사건 역시 랜섬웨어 감염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공격자는 튀니지에서 해킹을 시도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다행히 대전교통공사는 해커들.. 2025. 3. 6.
결혼 정보 회사 ‘듀오’ 개인정보 유출 설 연휴 동안 국내 유명 결혼정보 회사인 ‘듀오’ 가 해킹을 당해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해킹이 발생한 즉시 발견되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연휴라는 특수한 상황이 겹치면서 해킹이 발생한 지 이틀이 지나서야 인지되었고, 그사이 얼마나 많은 정보가 유출되었는지 아직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습니다.특히 결혼정보 회사는 단순한 연락처나 생년월일뿐만 아니라 고객의 신상, 선호도, 가족 관계 등 민감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 금전적 피해는 물론이고 협박, 사생활 침해와 같은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개인정보 유출이 왜 위험한가요?과거에도 데이팅 앱 해킹 사건이 발생하면서 피해자들이 해커에게 협박을 당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개인정.. 2025. 2. 20.
블루본(BlueBorne) 공격을 들어보셨나요? 블루투스는 무선으로 기기를 연결하는 편리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이 편리함 속에는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보안 위험이 숨어 있습니다. 오늘은 블루투스를 통해 전파되는 '블루본(BlueBorne)' 공격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블루본(BlueBorne) 공격이란?블루본 공격은 블루투스 기능이 켜져 있는 기기를 악용해 악성코드에 감염시키는 해킹 기법입니다. 공격자는 사용자가 특정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링크를 클릭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심지어 일부 스마트 TV까지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블루투스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입니다.어떻게 공격이 이루어질까요?블루본 공격은 보통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가까운 거리에서 블루투스 스캔: 공격자는 근처에 있는.. 2025. 2. 19.